본문 바로가기
나만의 자료실

'노동절(5월1일)'의 역사?

by 수어통역사 박정근 2009. 4. 17.

 

오는 5월 1일 119주년 노동절입니다.

 

죽어가는 민생, 무너지는 민주

촛불로 살립시다!

 

민주노총은 노동자뿐 아니라 각계각층의 국민과 네티즌과 함께 죽어가는 민생과 무너지는 민주주의를 살리기 위한 희망과 전망을 선포하고 2009년 국민촛불을 점화하는 날로 만들 것입니다. 

 

119주년 세계 노동절 기념

5.1 노동자민생살리기대회

 

2009년 5월 1일(금) 오후3시 전국동시다발 

 

  

노동절(메이데이/May Day) 유래와 우리나라 노동절의 역사 

 

1886년 5월 1일 미국 시카코 노동자들의 투쟁을 전세계 노동자 기념일로!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만약 그대가 우리를 처형함으로써 노동운동을 쓸어 없앨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렇다면 우리의 목을 가려가라!

가난과 불행과 힘겨운 노동으로 짓밟히고 있는 수백만 노동자의 운동을 없애겠단 말인가!

그렇다. 당신은 하나의 불꽃을 짓밟아 버릴 수 있다. 그러나 당신 앞에서 뒤에서 사면팔방에서

끊일 줄 모르는 불꽃은 들불처럼 타오르고 있다.

그렇다. 그것은 들불이다. 당신이라도 이 들불을 끌 수 는 없으리라.

 

- 당시 사형선고를 받은 미국 노동운동 지도자 스파이즈의 법정 최후진술 

 

1886년 미국의 노동자들은 하루 12-16시간의 장시간의 노동에 허름한 판잣집에서 방세 내기도 어려운 노예같은 삶을 살고 있었다.

 

마침내 5월 1일 미국 노동자들은 8시간 노동을 위해 총파업에 돌입했다.

공장의 기계소리, 망치소리가 멈추고, 노동자들이 일손을 놓으면 세상이 멈춘다는 것을 생생하게 보여준 날이었다. 노동자들은 감격의 눈물을 흘리고 자신의 힘에 가슴이 부풀어올랐다.

 

그러나 경찰은 파업 농성중인 어린 소녀를 포함한 6명의 노동자를 발포 살해하였다. 다음날 경찰만행을 규탄하는 30만의 노동자가 참가한 평화집회후, 폭동죄로 노동운동 지도자들이 체포되었고 장기형 또는 사형을 선고받았다.

 

1889년 세계 노동운동의 지도자들이 모인 제2인터내셔날 창립대회는 8시간 노동쟁취를 위한 미국 노동자 투쟁을 전 세계로 확산시키기 위해 5.1을 세계 노동절로 결정했다. 그리고 1890년 5월 1일을 기해 모든 나라에서 8시간 노동의 확립을 요구하는 국제적 시위를 조직하였다.

 

1) 1923년, 한국 최초의 노동절 행사 


우리나라 최초의 노동절 행사는 1923년 일제 식민지 시절, 당시 노동자의 자주적 조직인 '조선 노동 총연맹'의 주도하에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약 2000여명의 노동자가 "노동시간 단축, 임금인상, 실업방지" 등을 주장하며 전세계 노동자의 명절인 메이데이 기념행사를 최초로 치뤘으며, 그 이후 1945년 해방되기 전까지 일제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굽힘없는 투쟁을 지속적으로 전개해왔다.

 

2) 해방, 전평 깃발아래에서의 노동절 


마침내 해방이 되었다. 1945년 결성된 '조선 노동조합 전국평의회'는 1946년 20만 노동자가 참석한 가운데 메이데이 기념식을 성대히 치뤘다. 전평의 깃발아래 노동자들의 힘찬 함성이 울려 퍼지는 서울운동장 야구장 바로 옆, 육상경기장에서는 대한노총이 주최한 약 1,000여명의 우익청년과 노동자가 참석한 초라한 기념식이 치뤄졌다.

 

3) 날짜도 이름도 빼앗긴 노동절

 

① 이승만 정권하에 대한노총이 주관하는 노동절 


 미군정과 대한노총의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은 폭력적인 전국노동조합평의회(이후 전평) 파괴로 수많은 조합원이 해고되고 검거되었다. 게다가 미군정은 정치색을 띤 노조는 일체 정당한 단체로 인정하지 않겠다며 마침내 전평을 불법단체로 만들었다.

 

그 뒤를 이어 전평 타도 기수로 미군정의 비호를 받아 무럭무럭 자라온 대한노총은 1948년부터 58년까지 노동절 행사를 주관하게 되었다.

 
그 이후 대한노총 주도하에 진행되었던 노동절 대회는 한마디로 출세와 돈에 눈이 먼 대한노총 상층부가 노동자 대중의 뜻과는 관계없이 이승만과 자본가에게 충성을 다짐하는 날이 되었다.

 

② 대한노총 생일인 3.10을 노동절로 


1957년 이승만은 "메이데이는 공산 괴뢰도당이 선전의 도구로 이용하고 있으니 반공하는 우리 노동자들이 경축할 수 있는 참된 명절이 제정되도록 하라"는 명령을 노총에 지시했다. 이승만이 지시가 떨어지기가 무섭게 대한 노총은 노총 결성일인 3월 10일을 노동절로 결정했다.

 

"3월 10일을 노동절로 기념하게 된 것은, 과거 5월 1일 메이데이를 경축하여 왔으나 이는 적색 공산 국가들간에 공통적으로 기념되는 날로서 오직 자유와 평화를 사랑하는 대한의 노동자 대표들은 폭압하고 잔인무도한 공산도당과 같은 날에 함께 즐길 수 없다는 의도하에 .... 대한의 참다운 민주 노동자들의 총결집체인 대한노총을 창립한 3월 10일을 한국의 노동절로 축하하고 기념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한국노동운동사}, 한국노총 출판

 

무릇 모든 기념일에는 그 날짜에 치뤄져야 하는 특별한 이유와 의미가 있다.

설날이나 성탄절도 매년 그 날짜인 것과 마찬가지로 메이데이도 5.1에 치루는 것은 그 나름의 이유가 있다.

 

그것은 1886년 미국 시카코 노동자의 투쟁과 희생인 "피의 헤이마켓 사건", 즉 노동자의 이익과 권리는 권력과 자본에 맞선 단결 투쟁을 통해서만 지켜질 수 있다는, 세계 노동자들에 대한 생생한 역사의 일깨움인 것이다.

 

이것이 바로, 다른 날이 아닌 5월 1일을 노동절로 기념하는 의미인 것이다.

 

정권과 자본은 노동자의 머리속에서 메이데이라는 말조차 아예 지워버림으로서 이 땅의 노동자를 권력과 자본에 순종하는 일 잘하고 말 잘 듣는 기계로, 의식없는 노동자로 만들려고 5월 1일 노동절을 대한 노총의 생일인 3월 10일로 바꾼 것이다.

 

대한노총의 어용성으로 빼앗긴 메이데이. 이는 곧 일제시대 이후 끊임없이 투쟁해 온 선배노동자와 노동운동의 빛나는 전통과 정신을 박탈하는 것이며 이후 남한의 민주적인 노동운동에 암흑시대를 예고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남한 노동자들은 그 이후 메이데이를 까맣게 잊고 반노동자적인 어용노총의 생일을 자신의 것인양 알고 지내왔던 것이다.

 

③ 노동절이 근로자의 날로 이름마저 바뀌고! 


 4월의 함성으로 이승만 정권이 무너지고 5.16 군사구테타 이후 박정희 군사독재 정권이 들어섰다. 박정권은 자신의 권리를 주장하는 노동자가 아니라 여왕벌을 먹이기 위해 아무 생각 없이 꿀만 나르는 꿀벌처럼 일잘하는 '근로자'가 필요했다.

 

그리하여 껍데기만 남아있던 노동절마저 '근로자의 날'로 이름을 바꾸고 해마다 근로자의 날에는 산업역군이라는 사탕발림으로 열심히 일한 노동자를 '모범 근로자'로 뽑아 상을 주었다. 이제 더 이상 단결과 투쟁의 자랑스런 노동자가 아니라, 정부와 자본의 축제에 들러리 서주는 불명예스런 근로자가 된 것이다. 

 
 메이데이 기념일도, 단결을 의미하는 노동자란 이름도 박탈당한 남한의 노동자는 다람쥐 쳇바퀴 돌듯 밤낮없이 일만하고 사회로부터는 공돌이 공순이로 불리우는 힘겨운 삶을 살아야 했다.

 

4) 아 ! 다시 되찾은 메이데이

 

① 1989년 제100회 메이데이 기념대회 


 87년 노동자 대투쟁 이후 민주노조 운동은 단위노조에서 지역, 업종을 넘어 전국으로 들불처럼 확산되어 '노동법 개정 및 임금인상 투쟁본부'를 결성하였다.

 

1989년 투쟁본부는 제100회 메이데이를 앞두고 근로자의 날을 노동자 불명예의 날로 규정하고 굴욕에 찬 지난날의 근로자 인생을 청산하고 한국전쟁 이후 단절되었던 5.1절 노동절의 전통을 회복할 것을 선언하였다. 

 
 1989년 삼엄한 경찰의 원천봉쇄를 뚫고 연세대학교에 모인 전국의 5천여 노동자와 청년들은 전야제를 갖고 4월 30일 세계 노동절 기념대회를 개최했다.

 

② 1989년 이후 매년 노동절 기념행사 


 1989년 대회 이후 오늘까지 민주노조 진영은 해마다 세계 노동절 기념대회를 개최하여, 노동절 정신을 계승하고 노동자의 생활과 권리를 개선하기 위한 투쟁을 힘차게 전개해 오고 있다. 

 

 이제 한국의 노동자들에게도 노동절은 노동해방과 인간해방의 숭고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애써온 선배 노동자들의 투쟁과 삶을 되새기는 기념의 날, 당면한 노동운동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투쟁하는 날로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1994년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 우리 노동자들의 투쟁으로 쟁취  


1994년 정부는 3월 10일에서 5월 1일로 근로자의 날을 개정하였다.

정부의 이런 법개정 이전에도 전국의 노동자들은 이미 89년부터 이승만에 의해 빼앗겼던 5.1절을 우리 힘으로 되찾아 3월 10일이 아니라 5월 1일에 세계노동절 기념행사를 치루어 왔다.

 
정부가 노동절 기념일을 바꾼 것은 그 동안 노동절 대회를 힘차게 벌여온 우리 노동자들의 힘과 요구를 더 이상 무시할 수 없었기 때문으로, 이제 다시 되찾은 5월 1일 노동절은 우리의 지난 6년간의 소중한 투쟁 성과인 것이다.

 
물론 정부와 자본은 5.1절을 합법화하여 노동자들의 투쟁을 무마하고, 근로자의 날이라는 이름을 고수하여 메이데이 정신을 계승하려는 노동자 의식을 마비시키고 정부, 자본에 대한 투쟁 열기를 식히려고 하지만 그것은 한낱 헛수고일 뿐이다.

 

이미 우리 노동자들의 가슴속에는 수년간의 5.1절 투쟁을 통해서 지울 수 없는 노동절 정신이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