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쌍용자동차 평택 공장 내부에 컨테이너박스 등으로 엮은 바리케이드가 마련됐다. |
ⓒ 선대식 |
| |
"파산 위기에 몰린 쌍용차는 구조조정 없이는 생존이 불가능하다."
8일자 <중앙일보> 사설 내용이다.
이 신문은 지난 1일에도 사설을 통해 "(쌍용차 노조는) 구조조정 계획을 수용하고 생산현장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다 살리려다가 다 죽는 우를 범해선 안 되지 않겠는가"라고 강조했다. 1000여 명의 정리해고는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이 신문은 정리해고에 대한 노조의 대안인 노동시간 단축·임금 삭감 등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인건비
절감 방안에 대해서는 귀를 닫았다. '구조조정=정리해고'라는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
하지만 <중앙>은 지금껏 '일자리 나누기'에 가장 적극적인 신문 중 하나였다. 지난 2월 16일 사설에서 8일
사설과는 정반대로, "살벌한 구조조정은 단기적 대안은 될 수 있을망정 궁극적 해법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는 비단 <중앙>에 국한된 일은 아니다. "쌍용차 정리해고는 어쩔 수 없다"는 다른 보수언론과 경제지들
역시 올해 초 '일자리를 지키자'라는 구호를 요란하게 외친 바 있다. 몇몇 언론은 시끌벅적한 캠페인도
벌였다. 이러한 보수언론·경제지의 이율배반적인 논조에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리해고 주장은 강조, 노조 대안은 외면
|
▲ <동아일보>는 5일 사설에서 "정부와 채권단은 쌍용차 노조원들이 파업을 중단하고 구조조정에 협조하지 않는 한 국민세금을 담보로 어떤 지원도 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
ⓒ <동아일보> PDF |
| |
최근 쌍용자동차 정리해고와 관련된 보수·경제 신문의 논조는 회사 쪽 주장만큼이나 강경하다. 이들 신문
사설은 "노조가 정리해고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모두 다 죽는다"는 위협적인 주장도 서슴지 않는다.
<동아일보>는 5일 '자멸 재촉하는 쌍용차 노조 외세 연대 총파업'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정부와 채권단은
쌍용차 노조원들이 파업을 중단하고 구조조정에 협조하지 않는 한 국민세금을 담보로 어떤 지원도 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 신문은 이어 노조의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인건비 절감 방안은 외면한 채 "인력 감축을 거부하는 쌍용차
노조는 망하기 전 미국 GM노조와 꼭 닮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지난달 23일에는 "쌍용차 노조가 구조조정
거부로 자멸을 재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조선일보>는 4일 쌍용차 평택공장 르포 기사에서 "정리해고는 노동자들 입장에서는 죽고 사는 문제"라면
서도 "GM사태에서 보듯 경쟁력이 없는 경우엔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경우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현영석
한남대 교수의 말을 전했다.
또한 이 신문은 지난 4월 10일 '쌍용차, 뼈 깎아도 차 안 팔리면 죽는다'는 기사에서 "노조가 주장하는 '일자리
나누기' 수준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단계를 한참 넘어섰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그
이유는 밝히지 않았다.
경제신문에서는 노조를 비판하는 강도가 더욱 거셌다.
<한국경제>는 지난달 23일 사설에서 노조의 파업에 대해 "참으로 답답하기 짝이 없는 일"이라며 "회사의
회생이 아닌 청산을 촉구하는 자해행위나 다름없다"고 지적했다.
보수신문과 경제지들은 정리해고에 대한 노조의 대안을 거의 다루지 않았다. "정리해고가 불가피하다"는
회사 쪽의 말만 일방적으로 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들은 또한 노조의 파업에 '불법' 딱지를 붙이거나
색깔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일자리 나누면 따뜻해진다던 조중동은 어디 갔나?
|
▲ <조선일보>는 그동안 일자리 나누기에 대해 강조해왔다. 다음은 2월 11일치 <조선> 1면에 실린 일자리 나누기 관련 기사다. |
ⓒ <조선일보> PDF |
| |
하지만 불과 몇 달 전만해도, 이들 신문은 이명박 정부가 실업대책으로 '일자리 나누기'를 내놓은 지난해 말
이후, 이명박 정부를 따라 '일자리 나누기' 구호를 대대적으로 외쳤다. 이들 신문은 "일자리가 최우선이다",
"무분별한 정리해고를 자제해야 한다"며 관련 기사를 쏟아냈다.
<중앙일보>는 지난 2월 16일 사설에서 "노조는 임금 동결이나 삭감을 결의하고 사측은 고용유지로 화답하고
있다"며 "노사 간의 '고용 품앗이'가 제대로 지속된다면 현 경제위기도 세계에서 가장 먼저 극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신문은 "선진국 대기업들이 취하고 있는 살벌한 구조조정은 단기적 대안은 될 수 있을망정 궁극적
해법은 아니다"고도 했다. 2월 13일 사설에서는 "(정부는) 대기업 중심으로 진행되는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고용유지 노력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노조의 정리해고 수용을 요구하는 지금의 논조와는
180도 다르다.
<조선>도 마찬가지다.
이 신문은 지난 2월 11일 '나누면 따뜻해지네'라는 기사에서 "회사 사정이 나빠져도 잡 셰어링을 통해
직원들을 내보내지 않고 보듬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면서 "잡셰어링을 더욱 확산시킬 정부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동아>는 지난 1월 22일 '임금 낮춰 일자리 나누기 본격 추진해보자'는 제목의 사설에서 "지금 우리에게 단
하나의 일자리도 아쉽다"며 "정부와 기업 그리고 노조가 고통분담 차원에서 손잡고 일자리 나누기에 앞장
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중·동 이들 세 신문은 일자리 나누기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벌이기도 했다.
<매일경제>·<한국경제> 등 경제지들도 일자리 나누기를 통해 위기를 헤쳐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 "노조 길들이기 위해 일자리 나누기 의견 바꿔"
이처럼 보수신문·경제지들이 쌍용차 정리해고 문제에서 일자리 나누기에 대한 의견을 180도 바꾼 것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정명기 한남대 중국통상·경제학부 교수는 "보수언론에서 한창 '일자리 나누기'를 강조하다가, 어느 날 일자리
나누기에 대한 얘기가 쏙 들어갔다"며 "전경련이나 보수언론은 '일자리 나누기'를 자기 편한 대로 해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보수언론이 미국 GM 파산을 강성 노조 탓으로 몰고 가고 있는데, 이와 맞물리면서 노조를
길들이기 위해서 일자리 나누기에 대한 의견을 바꾼 것으로 유추된다"며 "위기 극복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내수 진작인데, 노동자를 자르면 내수가 살아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