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수화7

한국수화의 부정법 분류 한국수화의 부정법 분류 어떠한 언어를 의미적으로 부정하는 것을 부정법이라고 함다. 어떤 상태가 그렇지 않음을 나타내거나 동작하는 주체의 의지에 의하여 일어나지 않음을 나타내는 단순부정과 동작하는 주체의 의지가 아닌 그의 능력이나 외적 원인으로 말미암아 그 일이 일어나.. 2010. 2. 6.
한국수화의 관용구 <한국수화의 관용구> * 가면 + 벗기다 => 태도가 돌변하다, 배신하다 * 감정 + 뼈 => 원한이 뼛속까지 사무치다 * 게으르다 + 분명 => 게으르기 짝이 없다 * 기억 + 악취 => 사소한 것까지 용케 기억하다 * 길 + 병신 => 길이 막혀서 더 이상 나아갈수 없다. * 농담 + 연극 => 짐짓 .. 2008. 7. 10.
한국수화의 역사 ** 한국수화의 역사 ** 한국수화는 일제시대 이전에 농아인들의 수화사용에 대해 입증할 만한 근거가 없었다가 현 서울선희학교 전신인 제생원에 등록하여 농교육을 받 은 농학생들로부터 수화가 정리되고 전수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한국수화의 역사는 농교육과 긴밀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 2008. 6. 2.
한국수화의 재미있는 의미와 용례 *** 한국수화의 재미있는 의미와 용례 *** 1. 강하다 ==> 어떤 상태가 ‘절대로’ ‘아무리’ ‘전혀’....않는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 “사무실에서 친구를 2시에 만나기로 했는데 아무리 기다려도 오지 않아!” 2. 미워하다 ==> 어떤 행위나 물건을 꺼려하거나 싫어할때 사용한다 예, .. 2008. 5. 31.
한국수화 문장의 종결방식 한국수화 문장의 종결방식 농인의 언어인 수화를 연구하려는 노력은 1960년대초에 스토키(Stokoe)에 의하여 수화소를 제시하면서 수화를 하나의 언어로 연구하려는 활동이 시작되었다. 수화를 이루는 수화소를 수형, 수위, 수향, 수동으로 제시하고 이것이 수화를 이루는 구성요소로 보았다. 그리고 1970.. 2008. 5. 26.
한국수화의 발달과정 * 한국수화의 발달과정 1980년 이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에서는 체계적으로 수화교육을 실시하는데 사용할수 있는 책이나 장소나 가르칠 수 있는 자격과 능력을 겸비한 사람을 구할 수 없어 참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수화보급운동은 1981년 UN에서 정한 "장애인의 해"라는 모토에 힘입어 한국청각.. 2008.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