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어를 배우려면

장애인복지론(필기준비)

by 수어통역사 박정근 2008. 6. 10.

장애인복지론 예상문제

 

1. 유엔총회에서 ‘장애인의 권리선언’을 결의한 해는?

① 1971년 ② 1975년 ③ 1976년 ④ 1981년

 

2.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의 장애인의 정의와 무관한 것은?

① 지체부자유, 시각장애, 청각장애 ② 정신박약 등 정신적 결함

③ 음성, 언어기능장애 ④ 장애자의 사회적 참여와 평등의 보장

3. 장애인 고용촉진법에 의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장애인이 소속 공무원이()이 고용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는가?

① 2/100 ② 2/50 ③ 1/100 ④ 1/1000

 

4. 다음 중 장애인복지법이 규정하고 있는 장애인의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시각장애인 ② 신체장애인 ③ 내부장애인 ④ 만성 질병인

 

5. 우리나라에서 장애인복지제도를 위한 법이 처음 제정 된 해는?

① 1965년 ② 1981년 ③ 1991년 ④ 1995년

 

6. 재활사업의 기본원칙은 어떤 사상에 입각한 것인가?

① 개인주의 ② 실존주의 ③ 실용주의 ④ 인도주의

 

7. 우리나라에서 장애인 의무고용제가 처음 실시 한 것은?

① 1965년 ② 1989년 ③ 1991년 ④ 1998년

 

8. 우리나라 ‘장애인의 날’은 언제인가?

① 매년 3월 1일 ② 매년 4월 20일 ③ 매년 5월 8일 ④ 매년 10월 2일

 

9. 다음 중 장애인복지를 효율적으로 증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아닌 것은?

① 장애인에 대한 특별한 태도 유지 ② 장애인에 대한 참다운 사랑과 봉사정신 필요

③ 장애인을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보는 태도필요

④ 장애인복지사업에 대한 높은 사명감과 의무감이 필요

 

10. 장애인복지에 있어서 장애인에 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두 눈의 시력이 각각 0.1이하인자, 한눈의 시력이 0.02이하, 다른눈의 시력이 0.6이하인자,

두 눈 시야의 1/2을 상실한 자를 시각장애인이라 한다.

② 일반적으로 지능지수 60이하를 정신박약으로 보고, 지능지수 34이하는 요보호 정신박약자라고 한다.

③ 두 발의 발각락이 모두 상실한 자를 지체장애인라고 한다.

④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명료도가 50%이하인 자를 청각장애인이라고 한다.

11. 장애인복지의 기본원칙으로 틀린 것은?

① 인간존엄의 동등성 장애인 복지의 개별성 ③ 사회참여의 평등성 ④ 욕구의 보편성

 

12. 장애인복지의 기본이념으로서 적절하지 못한 것은?

① 장애인에 대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 존중 ② 모든 영역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

③ 장애인에게는 모든 분야의 활동에 참여할 우선권 보장

④ 장애인 스스로가 자립에 노력할 것

 

13.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이론이 아닌 것은?

① 상품이론 ② 편견이론 ③ 통합이론 ④ 정책부재이론

 

14. 장애인에 대한 태도 개선방안이 아닌 것은?

① 장애인과의 접촉 강화 ② 비장애인과 장애인간의 결혼 권장하기

③ 장애체험의 부여 ④ 집단토의

 

15. 장애개념의 접근과 년도가 잘못된 것은?

① 1980년 - ICIDH ② 1988년 - ICIDH-2 ③ 1997년 - ICIDH-2 ④ 2001년 - ICF

 

16. 우리나라의 장애인복지법과 년도가 잘못된 것은?

① 장애인복지법(1983년 제정, 1999년 개정)

②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1990년 제정, 2000년 개정)

③ 산업재해보상보험법(1963년 제정, 1999년 개정)

④ 특수교육진흥법(19994년 전문개정, 2000년 개정)

 

17. 다음 중 자립생활의 배경과 관계가 적은 것은?

① 시민권 ② 정상화 ③ 탈시설화 ④ 의료화

 

18. 장애인복지 전달체계의 원칙이 아닌 것은?

① 기능분담의 체계성 원칙 ② 전문성의 원칙

③ 접근용이성의 원칙 ④ 분리적 지역분할의 원칙

 

19. 시대별 의사소통 양식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농업시대 - 일방적 의사소통 ② 산업시대 - 설득적 의사소통

③ 현대시대 - 권위적 의사소통 ④ 정보문화시대 - 쌍�향 의사소통

 

20. 다음 중 1980년 국제장애분류 기준인 ICIDH에 따라 심리적,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의 손실 또는 비정상을 의미하는 것은?

① 기능장애 ② 능력장애 ③ 사회적 불리 ④ 활동제한 ⑤ 참여제약 

 

21. 다음 중 능력장애(disability)에 해당하는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① 연령, 성, 문화적 요인에 따른 정상적 역할의 수행을 제약하는 개인에 대한 불이익

② 직업적 능력의 부족으로 취업이 되지 않는 상태

③ 심리적,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의 손상, 손실, 비정상

④ 손상, 활동, 건강조건, 상황요인과 관련된 경제생활, 지역사회 생활의 참여제약

⑤ 기능장애의 직접적 결과로 일상생활이나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제약

 

22. 다음 중 1997년 WHO에서 제안한 ICIDH-2와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손상 ② 활동제한 ③ 참여제약 ④ 상황요인 ⑤ 사회적불리

 

23. 우리나라는 1999년의 장애인복지법 개정이후 총 10가지 장애로 범주가 확대되었다. 다음 중

장애인 복지법의 장애인이 아닌 것은?

① 뇌병변장애 ② 간장장애 ③ 신장장애 ④ 발달장애 ⑤ 심장장애

 

24. 장애인은 노동력이나 지식에 있어 다른 사람에 비해 생산성이 떨어지므로 적응할 수 없고, 타인 에게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존재로 전락한다고 보는 관점은?

① 편견이론 ② 낙인이론 ③ 상품이론 ④ 사회진화론 ⑤ 우생학이론

 

25. 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미신적이며 부정적인 인식이 장애문제를 발생시키고 사회참여의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는 이론은?

① 낙인이론 ② 우생학 이론 ③ 편견이론 ④ 정책부재 이론 ⑤ 상품이론

 

26. Wolfensberger가 1970년~1980년대 초기에 체계화한 이론으로 시설보호에 반대하고 일상적인 생활을 강조한 이론은 ( )이론이다.

① 사회통합 ② 재활 ③ 탈시설화 ④ 사회적 역할강화(부여) ⑤ 정상화

 

27. 다음 중 한국의 장애인 복지를 결정적으로 전환시키는 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① 1980년 ② 1981년 ③ 1988년 ④ 1989년 ⑤ 1990년

 

28.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센터의 기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지역사회 중심의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② 일상생활, 사회성훈련을 통한 직업적응훈련을 실시한다.

③ 시설장애인 중심으로 직업훈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④ 지역사회 자원의 조사 및 연계방안을 연구한다.

⑤ 지역사회 기업체와 연계하여 지원고용, 보호고용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29. 장애인을 위한 교육기회 보장을 위해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① 특수교육기관의 증설 ② 특수교육 전문인력의 배치 확대

③ 장애유아에 대한 조기교육 강화 ④ 일반학교 특수학급의 축소

⑤ 학습도우미 배치

 

30. 다음의 장애인복지 생활(수용)시설 중 장애종류별로 구분할 때 그 수가 가장 많은 것은?

① 지체장애시설 ② 시각장애시설 ③ 청각․언어장애시설

④ 정신지체시설 ⑤ 자폐 장애인 시설

 

31. 우리나라에서 장애인 의무 고용제가 처음 실시된 것은 언제인가?

① 1981년 ② 1989년 ③ 1991년 ④ 1995년 ⑤ 1998년

 

32. 다음 중 우리나라의 장애인 복지정책의 방향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장애발생의 예방 ② 장애인 고용의 촉진 ③ 분리교육, 평생교육의 실시

④ 경제적 부담의 경감 ⑤ 재활을 위한 노력

 

33. 재활의 종류 중 사회복지사가 가장 많이 담당하여야 할 영역은?

① 의학적 재활 ② 영적재활 ③ 심리사회적 재활 ④ 교육적 재활

 

34. 다음 중 장애인을 위한 소득보장 대책이라 볼 수 없는 것은?

① 장애인 의무고용 제도화 ② 자영업 종사자에 대한 재정적 지원

③ 직업재할 서비스의 강화 ④ 장애인을 위한 재활시설, 이용시설의 증설

 

35. 다음 중 재활의 성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재활은 장애인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회복하기 위해 여러 전문분야의 협조를 요한다.

② 장애인이 하나의 인격체로서 자립할 수 있도록 한다.

③ 재활의 전 과정은 자격있는 전문가들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④ 장애인마다 다른 욕구에 따라서 재활의 방법도 달라질 수 있다.

⑤ 재활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장애인 본인의 의지보다 가족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36. 재활의 가장 기본적인 분야로서 가장 최초의 단계는?

① 직업재활 ② 심리재활 ③ 교육재활 ④ 의료재활 ⑤ 사회재활

 

37. 장애인으로 하여금 사회통합을 위한 최대 과제인 자립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재활 단계 중 궁극적인 영역은?

① 직업재활 ② 심리재활 ③ 교육재활 ④ 의료재활 ⑤ 사회재활

 

38. 다음 중 지원고용에 대한 설명으로서 맞지 않는 것은?

① 중증장애인에 유용한 고용서비스이다. ② 장애인에 지속적인 훈련, 지원서비스가 제공된다.

③ 일반 사업체에서 유급으로 일치하는 것이다. ④ 경증장애인에 필요한 고용지원 방식이다.

⑤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같이 일하고 어울릴 기회를 가질 수 있다.

 

39. 중증장애인을 위한 보호고요의 형태가 아닌 것은?

① 보호작업장 ② 복지공장 ③ 재택고용 ④ 일반 사업체 고용 ⑤ 옥외작업 프로젝트

   

40. 다음 중 지원고용의 유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개별배치 모델 ② 재택근무 모델 ③ 소집단 모델 ④ 이동작업 모델 ⑤ 소기업 모델

 

41. 우리나라에서 장애인 등록제도를 처음 실시한 시기는?

① 1981년 ② 1985년 ③ 1988년 ④ 1991년 ⑤ 1999년

 

42. 장애인 의무고용 대상사업체는( )인 이상으로 장애인을 ( )% 고용해야 하는데, 괄호에 알맞은 것은?

① 100인-3% ② 200인-2% ③ 200인-1.6% ④ 300인-2% ⑤ 300인-3%

 

43. 장애인복지 전달체계의 원칙이 아닌 것은?

① 기능분담의 체계성 원칙 ② 전문성의 원칙 ③ 접근용이성의 원칙

④ 서비스 파편화의 원칙 ⑤ 지역참여 원칙

 

44. 장애인 직업재활 전달체계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

① 장애인 직업재활을 담당하는 중앙부처의 이원화

② 지역사회 내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미흡

③ 장애인 직업재활 관련인력 양성체계 미흡

④ 대기업의 직업창출 의지부족

 

※ 다음을 읽고 맞으면 O, 틀리면 X를 하시오

 

45. 급격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현대 장애인 복지의 특징을 요약하면, 철저한 전문가 중심 의 시각에 근거하여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 × )

 

46. 장애인의 사회통합성과 정상화는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삶의 기회를 보장 해 주는데에까지 이르러야 한다. ( 0 )

 

47. 최근에 한국의 장애인 복지정책은 중요한 변화를 맞이하였다. 바로 2001년 초의 장애인 복지법 의 개정이다. ( × )

 

48. 보호작업장이 지원고용보다 경제적으로 3-5배 효율적이며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들이 최근에 쏟아지고 있다. ( × )

 

49. 전환고용 모델의 목적은 장애인들이 작업기술을 키우고 긍정적인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단기 간의 고용기회를 갖도록 하는데에 있다. ( 0 )

 

50. 이동능력상의 문제를 갖고 있거나 특정 신체기능상 한계를 갖고 있어도 지적기능이 정상수준에 가깝다면 적절한 업무배치외 직업 전 훈련, 가능한 직종개발 등의 노력을 통해 중증장애인라 할 지라도 직업재활이 가능하다. ( 0 )

 

51. 현대 장애인복지 이념의 핵심은 장애인에게 가치있는 사회적 역할을 강화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 0 )

 

52. 장애를 가진 미국인법(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 1990)은 미국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 시켰다. ( × )

 

53. 장애인재활복지 서비스 전달과정은 크게 ‘사정계획실행평가’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 × )

 

54. 현대장애인 재활은 자활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 0 )

 

55. 장앤복지정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민간부문과 공공부분의 파트너쉽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 0 )

 

56. 우리나라의 장애인 복지 법에는 장애등급을 1급에서 6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 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수어를 배우려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버DEAF예술단'을 소개합니다!  (0) 2008.06.19
수화통역의 기초(필기 준비)  (0) 2008.06.13
한국수화의 역사  (0) 2008.06.02
'중급과정' 응용  (0) 2008.06.01
한국어의 이해(필기 준비)  (0) 2008.06.01